안녕하세요 돌려돌려화살코입니다~
어제 한국시간으로 1월 28일 새벽에 엔비디아 주가가 큰폭으로 하락했는데요,
그 영향이 중국의 AI 프로그램 딥시크의 영향이라고 해서 내용을 정리해볼까 합니다!
딥시크는 2023년 중국에서 설립된 AI기업으로 오픈AI에서 개발하는 챗GPT와 같은 AI 프로그램입니다.
- 오픈AI = 챗GPT
- 딥시크 = 딥시크(DeepSeek)
요런 관계입니다
남녀노소 불문하고 이미 챗GPT를 많이 쓰고 계시고, 제미니부터 다양한 AI프로그램이 있는 와중에 왜 딥시크가 이렇게 화제인 걸까요?
사람들의 적응력은 무시무시합니다.
처음에는 챗GPT 무료 버전만으로도 굉장히 좋다고 느꼈었는데, 이제는 유료버전을 써야 어느정도 내가 원하는 답변을 들을 수 있다고 느껴집니다.
저는 회사에서 업무를 위해 매달 20달러(한화 약 3만원)짜리 챗GPT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딥시크가 이렇게 화제인 이유 첫번째는 '공짜'라는데 있습니다.
딥시크(무료)를 사용해본 사람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매달 3만원씩 내는 챗GPT-o1모델보다 좀 더 내가 원하는 답변을 얻는다고 하니 이건 정말 무섭습니다.
딥시크와 엔비디아에 어떤 연관성이 있길래 어제 엔비디아 주가가 16%나 급락했을까요?
딥시크가 '가볍기' 때문입니다.
컴퓨터를 하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컴퓨터에서 어떤 프로그램을 돌릴 때 컴퓨터의 사양(자원)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 '무겁다', 컴퓨터의 사양을 적게 사용하는 경우를 '가볍다'라고 합니다.
현재까지 AI프로그램들은 무지막지한 GPU(그래픽카드)의 연산능력을 필요로 하는 무거운 프로그램이었던 반면, 딥시크는 엔비디아의 고성능 칩을 활용한 것이 아닌 1/10가격정도 밖에 안되는 설비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엄청 가벼운 프로그램입니다.
또한 그렇게 AI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오픈소스로 풀어버렸기 때문에 누구나 (기존보다)싼 가격으로 (기존보다)더 강력한 프로그램을 만들수 있게 됐습니다.
시장은 이제 더이상 엔비디아의 고성능 칩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했고, 그래서 주가가 빠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들 걱정하는 것처럼 정말로 엔비디아 주가 전망은 어두울까요?
1. 딥시크 개발로 인해 엔비디아의 고성능 칩 수요가 줄어들 것
2. 이로인해 엔비디아 매출이 급감할 것
3. 때문에 엔비디아의 급성장세가 꺾이고 주가는 급락할 것
4. 돔황챠
위와 같은 논리로 엔비디아 주가를 전망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만 저는 좀 다르게 생각합니다.
왜냐면 딥시크가 엔비디아 칩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그래픽카드 시장(AI분야)은 양분되어 있습니다.
엔비디아가 거의 95%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AMD가 약간 가져가고 있습니다.
독점 상태입니다.
중국과 미국의 무역 전쟁으로 인해 중국으로 들어가는 GPU들이 제한을 받고 있고, 이에대한 고육지책으로 기존에 갖고 있던 저성능 GPU를 통해 AI프로그램을 개발한게 아닌가 싶습니다.(그러다 대박이 났고)
이는 엔비디아 고성능 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가 아니라, 엔비디아 고성능 칩을 사용하면 더 나은 성능의 AI프로그램이 나올 수 있다는 얘기고 이는 오히려 AI프로그램의 대중화, AI 프로그램 춘추 전국시대가 열리지 않을까 하는게 제 생각입니다.
GPU가 없어서 애매한 프로그램을 만들었다면 이제 챗gpt-o1 수준의 프로그램을 이곳저곳에서 만들수 있다는 뜻이니까요.
오히려 GPU 수요가 늘어날지도 모르는 일입니다.
지금 걱정하는 것처럼 엔비디아가 급락할 것이라는 전망은 옳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말씀드리며(물론 제가 틀려서 엔비디아 주가가 급락할 수도 있지만), 이제까지
엔비디아를 팔아서 니콜라를 산 머저리 투자자 돌려돌려 화살코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투자를 처음하는 주린이들을 위해 어려운 재무지식들을 최대한 쉽게 설명하였습니다.
아주 간단한 구조를 가진 붕어빵집을 활용하여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끔 설명하였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딥시크 관련주2, 크래프톤이 딥시크 관련주? (0) | 2025.01.31 |
---|---|
첨생법 관련주 대장주, 메디포스트 (0) | 2020.08.19 |
RE100 소개 및 RE100 대장주 관련주 안내 (0) | 2020.07.23 |
롤러블 대장주 및 관련주 분석 정리 (4) | 2020.07.22 |